반응형
본문
눅 6:1-11
"[1] 안식일에 예수께서 밀밭 사이로 지나가실새 제자들이 이삭을 잘라 손으로 비비어 먹으니 [2] 어떤 바리새인들이 말하되 어찌하여 안식일에 하지 못할 일을 하느냐 [3]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다윗이 자기와 및 함께 한 자들이 시장할 때에 한 일을 읽지 못하였느냐 [4] 그가 하나님의 전에 들어가서 다만 제사장 외에는 먹어서는 안되는 진설병을 먹고 함께한 자들에게도 주지 아니하였느냐 [5] 또 이르시되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니라 하시더라 [6] 또 다른 안식일에 예수께서 회당에 들어가사 가르치실새 거기 오른손 마른 사람이 있는지라 [7]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예수를 고발할 증거를 찾으려 하여 안식일에 병을 고치시는가 엿보니 [8] 예수께서 그들의 생각을 아시고 손 마른 사람에게 이르시되 일어나 한가운데 서라 하시니 그가 일어나 서거늘 [9]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너희에게 묻노니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과 악을 행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것과 죽이는 것, 어느 것이 옳으냐 하시며 [10] 무리를 둘러보시고 그 사람에게 이르시되 네 손을 내밀라 하시니 그가 그리하매 그 손이 회복된지라 [11] 그들은 노기가 가득하여 예수를 어떻게 할까 하고 서로 의논하니라(눅 6:1-11)"
* 오늘 읽은 말씀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문장, 단어 혹은 가르침은 무엇인가요?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너희에게 묻노니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과 악을 행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것과 죽이는 것, 어느 것이 옳으냐?(9절)" "
그들은 노기가 가득하여(11절)"
안식일을 지킨다고 하면서,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자들을 정죄할 거리를 찾는 일을 하고 있는 서기관, 바리새인들에게 예수님을 물으신다. 선을 행하는 것과 악을 행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것과 죽이는 것, 어느 것이 옳으냐?
안식일을 지킨다고 하면서,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자들을 정죄할 거리를 찾는 일을 하고 있는 서기관, 바리새인들에게 예수님을 물으신다. 선을 행하는 것과 악을 행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것과 죽이는 것, 어느 것이 옳으냐?
* 위 내용이 인상 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나의(or 오늘날의) 상황에 비추어 생각해 봅시다.
손 마른 사람의 그 손이 회복되는 치유의 역사를 보고도, 감사와 감격이 없고, 오히려 노기가 가득한 바리새인들.
그들은 왜 그렇게 분노했을까?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물으신 그 질문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겠다.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과 악을 행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것과 죽이는 것 중에 어느 것이 옳으냐?"
이 질문은 사실 예수님께서 그들이 안식일에 악을 행하고, 생명을 죽이는 자였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었다.
그러면 그들이 무슨 악을 행했을까?
그들은 안식일에는 율법에 명시된 해서는 안 될 일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율법에 명시 되지 않았지만, 율법의 정신에 위배되는 '정죄와 고발'을 일삼았다.
사람을 살리기 위해 있는 율법, 사랑하며 살기 위해 주신 율법인데,
그들은 그 율법으로 사랑하기 보다 정죄하고, 살리기 보다 죽였다.
이에 대한 예수님의 정확한 지적 앞에 자복하며 회개하지 않고 당황하며 분노로 반응하였다.
중요한 것은 주님의 정확한 지적 앞에 어떤 반응을 할 것인가이다.
회피할 것인가? 회개할 것인가? 아니면 분노할 것인가?
나는 대부분 회피하였던 것 같다. 이제는 회개하며 살아야겠다.
그들은 왜 그렇게 분노했을까?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물으신 그 질문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겠다.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과 악을 행하는 것, 생명을 구하는 것과 죽이는 것 중에 어느 것이 옳으냐?"
이 질문은 사실 예수님께서 그들이 안식일에 악을 행하고, 생명을 죽이는 자였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었다.
그러면 그들이 무슨 악을 행했을까?
그들은 안식일에는 율법에 명시된 해서는 안 될 일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율법에 명시 되지 않았지만, 율법의 정신에 위배되는 '정죄와 고발'을 일삼았다.
사람을 살리기 위해 있는 율법, 사랑하며 살기 위해 주신 율법인데,
그들은 그 율법으로 사랑하기 보다 정죄하고, 살리기 보다 죽였다.
이에 대한 예수님의 정확한 지적 앞에 자복하며 회개하지 않고 당황하며 분노로 반응하였다.
중요한 것은 주님의 정확한 지적 앞에 어떤 반응을 할 것인가이다.
회피할 것인가? 회개할 것인가? 아니면 분노할 것인가?
나는 대부분 회피하였던 것 같다. 이제는 회개하며 살아야겠다.
* 위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나의 답변을 기도문으로 바꾸어 봅시다.
하나님.
하나님께서는 제 모든 행동에 가려진 그 중심을 보십니다.
겉으로 안식일을 지키고, 율법을 지켰지만, 그러나 그것이 결코 선이 아니며 악이었고, 생명을 살리는 일이 아닌 죽이는 일이었던, 당시 종교 지도자들의 중심을 보신 주님. 저의 중심을 동일하게 보시고 판단하실 때, 그리고 말씀 하여 주실 때, 그 빛 앞에 겸손히 회개하는 은혜를 주옵소서. 저들처럼 노기가 가득하여 예수를 어찌할꼬하지 않게 하시고, 주님 이 죄인이 어찌하여야 합니까? 라고 묻는 자가 되기 원합니다. 돌 같은 저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시어 늘 주님 뜻 안에 거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제 모든 행동에 가려진 그 중심을 보십니다.
겉으로 안식일을 지키고, 율법을 지켰지만, 그러나 그것이 결코 선이 아니며 악이었고, 생명을 살리는 일이 아닌 죽이는 일이었던, 당시 종교 지도자들의 중심을 보신 주님. 저의 중심을 동일하게 보시고 판단하실 때, 그리고 말씀 하여 주실 때, 그 빛 앞에 겸손히 회개하는 은혜를 주옵소서. 저들처럼 노기가 가득하여 예수를 어찌할꼬하지 않게 하시고, 주님 이 죄인이 어찌하여야 합니까? 라고 묻는 자가 되기 원합니다. 돌 같은 저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시어 늘 주님 뜻 안에 거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반응형
'날마다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02.25 과부의 아들을 살리심 (0) | 2012.02.28 |
---|---|
2012.02.24 백부장의 하인이 고침 받음 (0) | 2012.02.24 |
2012.02.22 마태를 부르심, 죄인들과 식사하심 (0) | 2012.02.22 |
2012.02.21 바쁜 사역을 감당하시는 예수님의 하루 (0) | 2012.02.21 |
2012.02.20 시몬, 안드레, 야고보, 요한 (0) | 201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