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문
"[22] 예수께서 각 성 각 마을으로 다니사 가르치시며 예루살렘으로 여행하시더니 [23] 어떤 사람이 여짜오되 주여 구원을 받는 자가 적으니이까 그들에게 이르시되 [24]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들어가기를 구하여도 못하는 자가 많으리라 [25] 집 주인이 일어나 문을 한 번 닫은 후에 너희가 밖에 서서 문을 두드리며 주여 열어 주소서 하면 그가 대답하여 이르되 나는 너희가 어디에서 온 자인지 알지 못하노라 하리니 [26] 그 때에 너희가 말하되 우리는 주 앞에서 먹고 마셨으며 주는 또한 우리를 길거리에서 가르치셨나이다 하나 [27] 저가 너희에게 말하여 이르되 나는 너희가 어디에서 왔는지 알지 못하노라 행악하는 모든 자들아 나를 떠나 가라 하리라 [28] 너희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과 모든 선지자는 하나님 나라에 있고 오직 너희는 밖에 쫓겨난 것을 볼 때에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갈리라 [29] 사람들이 동서남북으로부터 와서 하나님의 나라 잔치에 참여하리니 [30] 보라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될 자도 있고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될 자도 있느니라 하시더라(눅 13:22-30)"
* 오늘 읽은 말씀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문장, 단어 혹은 가르침은 무엇인가요?
"어떤 사람이 여짜오되 주여 구원을 받는 자가 적으니이까 그들에게 이르시되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23-24절)"
'구원을 받는 자의 '를 묻는 질문에 '너는 구원의 길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고 답하시는 예수님
* 위 내용이 인상 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나의(혹은 오늘날의) 상황에 비추어 생각해 봅시다.
설교자로서 살아가는 내게 있어서 고민은 '실제적인 제안을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말씀과 현상을 바라보고 분석하여 그것에서 원리를 뽑아내는 것까지는 옳게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무척 어렵다고 느끼지는 않는다.
그런데 그렇게 뽑아낸 원리를 가지고 '이렇게 살자' 혹은 '이렇게 살라'고 해야 하는데 '이렇게'를 만들기가 참 어렵다.
오늘 예수님께 질문한 예수님의 질문은 '수'라는 소재를 가지고 있기에 실재적인 느낌을 주는 것 같지만 사실상 추상적이며,
그리고 자기 자신의 문제가 아닌 일반의 문제로 격리시킨 객관적인 질문이다.
그런 질문에 예수님은 실재적이며, 매우 주관적인 답을 주신다.
질문자의 내면에 깔린 부분을 터치해 주셨을 가능성도 있다.
물론 전혀 그런 의도와 궁금증 없이 표면에 드러난 것 자체가 질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찌 되었든간에 예수님은 그의 질문에 실제적이며, 주관적인 답을 주신다.
'구원 받는 자가 적은가?'에 관심을 두기보다, '너가 구원을 받으라'는 것이다.
오늘 이 본문을 통해서 예수님께서 내게 말씀을 주시는 듯 하다.
현상에 대한 관심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현상 속에서 내가 어떻게 살 것인가가 더욱 중요하다고..
* 위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나의 답변을 기도문으로 바꾸어 봅시다.
하나님.
언제나 말씀으로 가르치시니 감사합니다.
저의 삶의 부족함을 아시고, 더 좋은 것으로 채우시는 주님의 은혜를 찬양합니다.
저들의 길을 묻고, 저들의 상황을 묻느라, 제가 가야할 길을 놓치는 어리석음을 범치 말라고
오늘 본문을 통해 말씀해 주시는 것. 마음에 새기고, 미간에 붙이고, 손목에 매겠습니다.
성령님 언제 어디서나 생각나게 해주시고 그대로 살아가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반응형
'날마다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03.24 하나님 나라의 도래(눅 17:20-30) (0) | 2012.03.28 |
---|---|
2012.03.23 수종병 환자를 고치심(눅 14:1-6) (0) | 2012.03.23 |
2012.03.21 마르다와 마리아 (눅 10:38-42) (0) | 2012.03.22 |
2012.03.20 10명의 나병환자가 고침 받음 (눅 17:11-19) (0) | 2012.03.22 |
2012.03.19 날 때 부터 맹인 된 사람을 고치심(요 9:1-12) (0) | 2012.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