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문
"[36] 한 바리새인이 예수께 자기와 함께 잡수시기를 청하니 이에 바리새인의 집에 들어가 앉으셨을 때에 [37] 그 동네에 죄를 지은 한 여자가 있어 예수께서 바리새인의 집에 앉아 계심을 알고 향유 담은 옥합을 가지고 와서 [38] 예수의 뒤로 그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고 자기 머리털로 닦고 그 발에 입맞추고 향유를 부으니 [39] 예수를 청한 바리새인이 이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더면 자기를 만지는 이 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하거늘 [4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시몬아 내가 네게 이를 말이 있다 하시니 그가 이르되 선생님 말씀하소서 [41] 이르시되 빚 주는 사람에게 빚진 자가 둘이 있어 하나는 오백 데나리온을 졌고 하나는 오십 데나리온을 졌는데 [42] 갚을 것이 없으므로 둘 다 탕감하여 주었으니 둘 중에 누가 그를 더 사랑하겠느냐 [43] 시몬이 대답하여 이르되 내 생각에는 많이 탕감함을 받은 자니이다 이르시되 네 판단이 옳다 하시고(눅 7:36-43)"
*오늘 읽은 말씀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문장, 단어 혹은 가르침은 무엇인가요?
"바리새인이 이것을 보고 마음에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선지자더면 자기를 만지는 이여자가 누구며 어떠한 자 곧 죄인인 줄을 알았으리라"
선지자에 대한 나의 생각이 바리새인의 그것과 같지는 않나라를 생각!
* 위 내용이 인상 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내 상황에 비추어 생각해봅시다.
바리새인의 이야기(39절)을 통해 그의 '선지자됨'에 대한 생각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선지자는 사람이 어떠한 존재인지를 알아야 한다.
선지자는 죄인과 가까이 하면 안 된다.
그러나 그의 선지자에 대한 두 가지 모두 다 틀렸다. 첫째, 선지자가 아니더라도 모든 사람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주님이 이미 알려주셨다. 둘째, 참된 선지자는 죄인과 같이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죄인과 함께하며 그를 의로우신 주님을 만나게 하고 의인의 삶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나는 목회자로 부름을 받고,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나의 역할을 바리새인이 생각했던 그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을 때가 있지는 않았는지 되돌아 보게 된다. 단순히 그 사람을, 그 사건을, 그 의미를 알고 바르게 판단하는 것에만 관심을 갖았던 것 같다. 죄인된 사람과 함께 하면서, 그의 아픔을 치유하고, 그의 죄의 문제를 해결하신 예수님을 만나도록 돕는 일에 더욱 집중해야 하겠다.
* 위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나의 답변을 기도의 형식으로 적어봅시다.
하나님.
하나님을 반역하며 떠난 죄인을 여전히 사랑하시어 찾아와 주시고, 그 아들 예수의 죽음을 통해 의롭다 여겨주신 그 사랑과 은혜에 감사와 찬양을 드립니다.
그 사랑과 은혜를 전하는 자로서의 사명을 잘 감당하게 하옵소서, 본문의 바리새인처럼 잘못된 선지자 인식을 가지고 헛된 일만 행하는 어리석은자 되지 않기를 원합니다. 주님 저를 붙드시고, 훈계로 다스려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반응형
'날마다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02.28 바다를 잔잔케 하심 (0) | 2012.02.28 |
---|---|
2012.02.27 죄 지은 한 여인의 믿음 2 (0) | 2012.02.28 |
2012.02.25 과부의 아들을 살리심 (0) | 2012.02.28 |
2012.02.24 백부장의 하인이 고침 받음 (0) | 2012.02.24 |
2012.02.23 안식일의 주인 (0) | 2012.02.24 |
댓글